deadweight loss deadweight loss는 자중손실(自重損失), 사중손실(死重損失) 등으로 번역하곤 하는데, 경제학적으로는 조세와 같은 인위적인 경제 유인의 왜곡에 따라 발생하는 경제적 순손실을 의미한다. deadweight라는 표현은 처음에는 의아하지만 그 뜻을 알고보면 재미있다. 총 2톤을 운반할 수 있는 엔진이 있다고 하자. 이 엔진을 트럭에 장착하면 그 트럭이 짐을 실을 수 있는 무게는 2톤보다 작다. 왜냐하면 트럭 자체의 무게를 빼야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deadweight loss이다. 최대적재중량은 2톤에서 차체의 무게를 제외한 나머지가 된다. 자신의 무게를 빼야하니 자중손실이고, 짐을 실을 수 없는 죽은 무게이니 사중손실인가보다. 어떤 교통수단이건 경제정책이건 deadweight loss는 작을수록 좋.. 더보기 선물과 최적화 어떤 상품에 대해 '내 돈 주고 사자니 아깝지만 대신에 그 상품을 남이 선물해주면 좋을 것 같다' 라는 심리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 이를테면 이런 상황이다. 생활에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예쁜 디자인을 가진 가방이 있다고 하자. 나는 이 가방이 마음에 들어 사고 싶은 마음이 든다. 그러나 1만 원정도면 사겠는데 가방의 가격은 2만 원이다. 나는 아쉬운 마음을 뒤로 하고 가방을 사지 않기로 한다. 그런데 이 때, 누군가가 나에게 그 가방을 선물해 준다. 그러면 나는 기뻐해야 할까? 물론 기쁠 것이다. 그러나 내가 묻고 싶은 것은 이것이 최적화된 상황, 즉 그 가격에서 가장 적절한 선물이었냐는 것이다. 먼저 기본 전제는 이렇다. 우리는 상품을 구매할 때 그 상품이 나에게 주는 주관적 효용(U)과 그 상품의.. 더보기 어렵게 쓰기 글을 어렵게 쓴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내가 보기에 그것은 세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첫째, 기죽이기다. 어렵게 쓴 글은 읽는 이로 하여금 글에 대해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뭔가 대단한 글이라는 착각 혹은 신호를 받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착각이란 글쓴이 자신도 이해하지 못하는 문장과 개념으로 이루어진 불분명한 글에 해당하며, 신호란 명확한 문장구조와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일반 수준의 독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글에 대응한다. 후자로써, 어렵게 쓰기는 글쓴이의 지적 권위를 드러내는 한 방법이다. 둘째, 필터링이다. 기죽이기와 크게 멀리 있는 것도 아닌데, 어려운 글은 논쟁에 참여하는 이들 중에서 독해력이 떨어지는 이들을 걸러내 줄 수 있다. 이것은 인터넷상의 논쟁과 같은 불특정 다수와의 논쟁에서 유용하.. 더보기 주제격조사 우리말 주격조사에는 ‘은/는’의 한 세트와 ‘이/가’의 한 세트가 있는데, 이 두 세트의 차이가 참으로 미묘하다. 한국인은 밥을 먹는다. 한국인이 밥을 먹는다. 앞의 문장은 한국인 일반이 모두 밥을 먹는다는 일반화로 보이는 반면, 뒤의 문장은 다른 나라 사람이 아닌 어떤 한국인이 지금 눈앞에서 밥을 먹고 있다는 진술로 보인다. ‘은/는’이 보통 일반적인 진술을 다루기 때문에 그것을 특별히 ‘주제격조사’라 부른다고 한다. 영어 문장을 번역하다 보면 어느 세트를 사용해야 할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대부분은 적당히 느낌이 오지만 잘 갈피가 잡히지 않는 것은 글에서 그 문장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확히 간파하지 못했기 때문이리라. 더보기 스킨을 바꾸다 한동안 방치해 두었던 이곳을 오늘 새단장했다. 스킨을 바꾸었고 크게 드러나진 않지만 세세한 부분들을 약간 손보았다. 메인화면 위쪽의 경구는 빈공간 놀리기가 아까워 한번 넣어 본 것이다. 새단장을 계기로 포스팅도 줄줄이 이어질지 모를 일.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다음